잊지 않겠습니다.

21. Controller - Spring 3.x

Java 2013. 9. 12. 13:39

* 사내 강의용으로 사용한 자료를 Blog에 공유합니다. Spring을 이용한 Web 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기존 Spring 2.x 대의 Controller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새로운 Controller Mapping 방법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 방법은 지금 Spring Controller 부분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기존 코드를 완벽하게 대치하고 있습니다. 

기존 Spring 2.x 대의 Controller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특정 interface를 반드시 상속받는 형태여야지 된다.
2. bean name을 이용한 method - url mapping이 된다.
3. POST/GET/DELTE/PUT/HEAD 와 같은 http method에 적합하지 않다.
4. url 당 1개의 Controller 객체가 생성되기 때문에 Enterprise 개발에 적합하지 않다.

기존에 Controller Interface를 구현해야지 되었으나, 3.0대의 @MVC는 annotation을 이용해서 @Controller로 객체의 meta 정보를 적는 것으로 해결이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코드로 기존과 동일한 Controller가 구현 가능합니다. 

@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Autowired
    private HelloString helloString;
    
    @RequestMapping(value="index", method=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index(@RequestParam(value="name") String name, ModelMap model) {
        model.addAttribute("message", helloString.say(name));
        return "hello";
    }
}


기본적으로 @Controller를 이용, component-scan으로 bean으로 등록시켜서 사용 가능합니다. mapping 시킵니다. 그리고, 각 method에 Mapping url을 각각 지정해주는 방식으로 처리가 가능합니다. 여기서 return값에 주목할 점이 있습니다. 기존에는 return값으로 ViewAndModel을 보내줘야지 되었지만, 이제는 input값으로 Response에 보내질 model을 미리 준비해서 받는것 역시 가능합니다. 이 코드는 method의 in/out의 type을 강제하지 않고, 특정한 객체에 대한 상속을 피하고, URL에 대한 mapping을 한개의 class에서 처리 가능한, Spring의 특징 및 장점을 모두 갖는 코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URL mapping의 기본이 되는 RequestMapping 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equestMapping

String[] value
URL을 지정해주는 pattern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pattern들을 지정해주는 것이 가능합니다.
1. @RequestMapping("/hello")
2. @RequestMapping({"/hello", "/hello2"})
3. @RequestMapping("/hello1")

Path변수를 지정해주는 것이 가능합니다. "/hello/{name}" 과 같이 method의 input을 url에 같이 실어 주는것이 가능합니다.
1. @RequestMapping("/hello/{name}")
2. @RequestMapping("/hello/{name}/{number}")

method
RequestMethod를 지정하는 것 역시 가능합니다. GET, POST, DELETE, PUT, HEAD가 사용 가능합니다. 역시 method도 Path와 동일하게 중복 설정이 가능합니다.

params
url 요청 파라미터의 유무에 따라 호출되는 method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1. RequestMapping(value="/user/edit", params="type=admin")
2. RequestMapping(value="/user/edit", params="type=member")

이 두 url은 다음 실제 Url과 mapping 됩니다.
* /user/edit?type=admin
* /user/edit?type=member

method의 input값에 따라 method내에서의 if문을 만들지 않고 처리가 가능한 유용한 팁입니다.

headers
HTTP header정보에 따른 mapping역시 가능합니다. request type을 text/html, application/json 각각의 type에 따라 다른 method를 처리 가능합니다. 

RequestMapping과 method parameter와 결합

기본적으로 @Controller의 각 method는 다음과 같은 input parameter를 갖을 수 있습니다.

TypeAnnotationDescription
URL/POST parameter@RequestParamGET/POST/DELETE/PUT 등으로 호출될 때, 넘겨지는 Parameter값
Path value@PathVariableURL 에 포함된 특정 영역 문자열
Servlet-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를 직접 Handling 하는 기존 Servlet과 같은 코드 역시 사용 가능합니다.
Cookie@CookieValueCookie 값을 얻거나 설정할 수 있습니다.
Session@SessionAttributesSession 값을 얻거나 설정할 수 있습니다.
Body@RequestBodyRequest의 Body 부분을 모두 String으로 얻어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한 Controller의 action method는 주로 4가지 형태의 Return Type을 사용하게 됩니다. 

1. String : view 이름을 return 합니다. 주로 JSP 또는 Veloctiy, Freemarker, tiles와 Html View를 호출 할 때 사용됩니다. String 형태를 보내줄 때는 일반적으로 ViewResolver라는 객체를 applicationContext.xml에 등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 void : 아무것도 return 하지 않습니다. 이는 method의 이름을 String 형태로 return 하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갖습니다.
3. Object : REST 형태의 Return값을 사용할 때 이용됩니다. 대체적으로 Object에 대한 Body Response를 덩어내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4. ModelAndView : Spring 2.X 형태로 Model과 View를 return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ModelAndView 형태의 return값은 pdf, excel 과 같은 데이터를 다운받는 형태로 사용 가능합니다. 이 부분은 뒤에 View에서 다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Spring 3.x를 이용한 Hello World


기본적으로 그 전에 만들었던 Spring 2.x의 Hello World와 유사한 코드가 만들어집니다. Spring 2.x대의 코드와 동일한 설정을 해서 project를 하나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아니면 기존의 project를 다른 이름으로 copy 해서 import 해도 괜찮습니다.
간단하게 HelloController를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roller를 이용한 처리를 하더라도 Controller의 경우에는 Controller라는 이름을 붙여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Autowired
    private HelloString helloString;
    @RequestMapping(value="/index", method=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index(@RequestParam(value="name") String name, ModelMap model) {
        model.addAttribute("message", helloString.say(name));
        return "hello";
    }
}

아주 간단한 코드입니다. 기존과 다르게 String 형태로 return을 시켰습니다. 지금 코드 그대로면 webapp/hello 파일을 찾게 되고, 이건 에러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사용할 ViewResolver를 등록시켜줘야지 됩니다. 


  <bean
    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InternalResourceViewResolver">
    <property name="prefix" value="/WEB-INF/jsp/" />
    <property name="suffix" value=".jsp" />
    <property name="order" value="1" />
  </bean>

지금까지 등록된 bean과는 조금 다른 형태입니다. 지금까지는 id값을 가지고 있었지만, id나 name이 없는 bean 등록입니다. spring을 사용한 개발을 하다보면 이렇게 등록되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주로 Spring 내부에서 사용할 bean 또는 모든 applicationContext에서 하나만 존재할 bean 들의 경우 id/name을 갖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Controller를 url에 mapping 해주는 과정을 해줘야지 됩니다. 이는 context:component-scan 을 이용해서 해주면 되고, applicationContext에는 다음과 같이 위치시키면 됩니다. 

  <context:component-scan base-package="com.xyzlast.mvc.spring02.controllers" />

프로젝트의 구조를 잘 파악할 수 있어야지 됩니다. 지금 구성된 전체 Project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web.xml을 구성해야지 됩니다. web.xml을 구성할 때, 앞으로 개발하기 좀 더 편하게 다음과 같은 설정을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request에 .do가 붙는 경우에는 모두 spring에서 처리하도록 web.xml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수정된 web.xml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servlet-mapping에서 url-pattern이 구성된 방법을 확인해주세요. 이 pattern을 넣는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do가 아닌 .html과 잘 알려진 확장자 역시 처리가 가능합니다. 이러한 설정을 이용해서, spring을 통해서 작성된 web인지, 아니면 그냥 html인지 외부에서 착각을 유도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정부표준 프레임워크 등 대부분의 Framework에서는 .do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nhn에서는 .nhn을 붙여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른 일반적인 file path들과 중복되지 않는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web-app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mlns="http://java.sun.com/xml/ns/javaee" xmlns:web="http://java.sun.com/xml/ns/javaee/web-app_2_5.xsd"
  xsi:schemaLocation="http://java.sun.com/xml/ns/javaee http://java.sun.com/xml/ns/javaee/web-app_3_0.xsd"
  version="3.0">
  <display-name>mvc.spring02</display-name>
  <welcome-file-list>
    <welcome-file>index.jsp</welcome-file>
  </welcome-file-list>
  <listener>
    <listener-class>org.springframework.web.context.ContextLoaderListener</listener-class>
  </listener>
  <servlet>
    <servlet-name>spring</servlet-name>
    <servlet-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servlet-class>
    <load-on-startup>1</load-on-startup>
  </servlet>
  <servlet-mapping>
    <servlet-name>spring</servlet-name>
    <url-pattern>*.do</url-pattern>
  </servlet-mapping>
</web-app>

그리고, applicationContext.xml 파일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beans xmlns="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mlns:mvc="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mvc"
  xsi:schemaLocation="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mvc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mvc/spring-mvc-3.2.xsd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spring-beans.xsd">
  <bean id="helloString" class="com.xyzlast.mvc.spring02.entities.HelloString"></bean>
</beans>

마지막으로 spring-servlet.xml파일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beans xmlns="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mlns:context="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context"
  xsi:schemaLocation="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spring-beans.xsd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context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context/spring-context-3.2.xsd">
  <context:component-scan base-package="com.xyzlast.mvc.spring02.controllers" />
  <bean
    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InternalResourceViewResolver">
    <property name="prefix" value="/WEB-INF/jsp/" />
    <property name="suffix" value=".jsp" />
    <property name="order" value="1" />
  </bean></beans>

구성후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스트 코드 소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RunWith(SpringJUnit4ClassRunner.class)
@ContextConfiguration(locations={"file:src/main/webapp/WEB-INF/applicationContext.xml", "file:src/main/webapp/WEB-INF/controller-servlet.xml"})
@WebAppConfiguration
public class HelloControllerTest {
    @Autowired
    private WebApplicationContext context;
    private MockMvc mvc;

    @Before
    public void setUp() {
        mvc = webAppContextSetup(context).build();
        assertThat(mvc, is(not(nullValue())));
    }

    @Test
    public void index() throws Exception {
        MvcResult result = mvc.perform(get("/index").param("name", "ykyoon")).andExpect(status().isOk()).andReturn();
        Object model = result.getModelAndView().getModel().get("message");
        assertThat(model, is(not(nullValue())));
        String message = (String) model;
        assertThat(message.endsWith("ykyoon"), is(true));
    }
}

마지막으로 jetty를 추가 후, maven jetty:run을 이용해서 프로젝트를 구동해보시길 바랍니다.
구성된 project의 pom.xml은 다음과 같습니다.

<project xmlns="http://maven.apache.org/POM/4.0.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maven.apache.org/POM/4.0.0 http://maven.apache.org/maven-v4_0_0.xsd">
  <modelVersion>4.0.0</modelVersion>
  <groupId>com.xyzlast</groupId>
  <artifactId>mvc.spring02</artifactId>
  <packaging>war</packaging>
  <version>0.0.1-SNAPSHOT</version>
  <name>mvc.spring02 Maven Webapp</name>
  <url>http://maven.apache.org</url>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junit</groupId>
      <artifactId>junit</artifactId>
      <version>4.11</version>
      <scope>test</scope>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spring-web</artifactId>
      <version>3.2.1.RELEASE</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spring-context-support</artifactId>
      <version>3.2.1.RELEASE</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spring-webmvc</artifactId>
      <version>3.2.1.RELEASE</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spring-context</artifactId>
      <version>3.2.1.RELEASE</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spring-test</artifactId>
      <version>3.2.1.RELEASE</version>
    </dependency>
  </dependencies>
  <build>
    <finalName>mvc.spring02</finalName>
    <plugins>
      <plugin>
        <groupId>org.apache.maven.plugins</groupId>
        <artifactId>maven-compiler-plugin</artifactId>
        <version>3.0</version>
        <configuration>
          <source>1.7</source>
          <target>1.7</target>
        </configuration>
      </plugin>
      <plugin>
      <plugin>
       <plugin>
            <groupId> org.eclipse.jetty</groupId>
            <artifactId>jetty-maven-plugin</artifactId>
        </plugin>
      </plugin>
    </plugins>
  </build>
</project>


확장자가 없는 URL

지금까지의 예시에서는 확장자를 하나씩 붙여서 처리했습니다. 이러한 확장자를 붙여서 처리하는 것은 DispatcherServlet에서 처리할 URL이 어떤 것인지 명확하게 결정해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방법은 조금 애매한 것이 사실입니다. W3C에서 표준한 URL 표준에서, 확장자는 URL을 통해서 얻고 싶은 Response의 protocol을 선택하는 형식입니다. 예를 들어서 다음 URL들의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shop/search.json?name=윤영권
/shop/search.html?name=윤영권
/shop/search.rss?name=윤영권
/shop/search.xml?name=윤영권

다음 4개의 url format은 json/html/rss/xml 형식으로 데이터를 얻어오는 것을 가정하고 있습니다. url의 extension에 dispatcher servlet 을 종속시키는 것은 이제 옛날 방법입니다. 이제는 모든 URL을 dispatcherServlet에 보내게 됩니다. 그리고 dispatcherServlet에서 해석 불가능한 request들은 servlet container에게 넘기는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servlet spec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RV.11.2 Specification of Mappings 에서 servlet container는 다음과 같이 명령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In theWeb application deployment descriptor, the following syntax is used to define mappings:
1. A string beginning with a ‘/’ character and ending with a ‘/*’ suffix is used for path mapping.
: '/'로 시작하고, '/*'로 끝나는 mapping의 경우에는 path mapping을 따르게 된다.
(path mapping : servlet container에서 정의되어 있는 mapping입니다.)
2. A string beginning with a ‘*.’ prefix is used as an extension mapping.
: *. 으로 시작하는 mapping의 경우에는 확장 mapping을 따르게 된다. 우리가 기존에 사용하는 것을 확인했던 *.do와 같은 방법입니다.
3. A string containing only the ’/’ character indicates the "default" servlet of the application. In this case the servlet path is the request URI minus the context path and the path info is null.
: '/'만 사용하게 되는 경우, 이는 application의 'default' servlet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request URI와 context Path가 완전히 일치하게 되고, servlet path는 null이 됩니다.
4. All other strings are used for exact matches only.
: 모든 request uri가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

이 4가지 경우중에서 우리가 사용하게 되는 것은 3번으로 mapping을 설정하게 됩니다. 이는 결국에 원 servlet container의 default servlet의 목적을 바꿔버리는 결과를 가지고 옵니다. 이렇게 설정하는 경우, web.xml은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습니다. 

    <servlet-mapping>
        <servlet-name>controller</servlet-name>
        <url-pattern>/</url-pattern>
    </servlet-mapping>

그리고 이렇게 설정하는 경우에 반드시 servlet-configuration에 다음과 같은 설정을 추가해줘야지 됩니다. 
<mvc:default-servlet-handler/>

앞으로 모든 url은 위와 같은 format으로 설정하게 될 것입니다. 

@Configuration을 이용한 DispatcherServlet 설정

Controller들을 선언하는 DispatcherServlet의 설정의 경우에는 DispatcherServletName + "-servlet.xml"의 형식으로 기본적으로 구성되게 됩니다. 이 설정을 @Configuration을 이용해서 변경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지금까지 구성된 spring-servlet.xml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beans xmlns="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mlns:context="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context"
    xmlns:mvc="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mvc"
    xsi:schemaLocation="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mvc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mvc/spring-mvc-3.2.xsd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spring-beans.xsd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context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context/spring-context-3.2.xsd">
  <context:component-scan base-package="com.xyzlast.mvc.spring02.controllers" />
  <bean
    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InternalResourceViewResolver">
    <property name="prefix" value="/WEB-INF/jsp/" />
    <property name="suffix" value=".jsp" />
    <property name="order" value="1" />
  </bean>
  <mvc:default-servlet-handler />
</beans>

ViewResolver를 등록하고, default-servlet-handler를 등록하는 것 이외에는 설정이 거의 없습니다. spring-servlet.xml을 대치하는 @Configuration을 구성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서 Spring은 abstract class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코드를 시용하면 보다 더 쉽게 처리가 가능합니다. xml을 이용해서 설정하는 것보다 나중에는 훨씬 편한 설정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는 꼭 @Configuration을 이용해서 구성하기실 바랍니다. 훨씬 편합니다. 

@Configuration
@EnableWebMvc
@ComponentScan(basePackages = { "com.xyzlast.mvc.spring02.controllers" })
public class ControllerConfiguration extends WebMvcConfigurerAdapter {
    @Override
    public void configureDefaultServletHandling(DefaultServletHandlerConfigurer configurer) {
        configurer.enable();
    }

    @Bean
    public InternalResourceViewResolver internalResourceViewResolver() {
        InternalResourceViewResolver viewResolver = new InternalResourceViewResolver();
        viewResolver.setViewClass(JstlView.class);
        viewResolver.setPrefix("/WEB-INF/jsp/");
        viewResolver.setSuffix(".jsp");
        viewResolver.setOrder(1);
        return viewResolver;
    }
}

WebMvcConfigurerAdapter를 이용하는 경우, DefaultServletHandlerConfigurer 등 여러 항목들을 편하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override가 가능한 method들이 주목할 만한 것들이 많습니다. 나중에 나올 initBinder, formatter 등의 설정 역시 위 class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여간해서는 xml을 사용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web.xml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를 드린 내용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onfiguration  + web.xml을 이용한 설정

@Configuration class를 이용한 설정을 web.xml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web.xml의 기본 ContextLoader의 설정을 변경해야지 됩니다.  기본적으로 web.xml의 ContextLoaderListener는 XmlConfigWebApplicationContext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이를 AnnotationConfgWebApplicationContext로 변경해야지 됩니다. 그리고 child applicationContext 역시, DispatcherServlet의 contextClass를 XmlConfigWebApplicationContext로 변경하고 @Configuration class로 변경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변경되는 web.xml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web-app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mlns="http://java.sun.com/xml/ns/javaee"
    xsi:schemaLocation="http://java.sun.com/xml/ns/javaee http://java.sun.com/xml/ns/javaee/web-app_3_0.xsd"
    version="3.0">

    <listener>
        <listener-class>org.springframework.web.context.ContextLoaderListener</listener-class>
    </listener>
    <context-param>
        <param-name>contextClass</param-name>
        <param-value>org.springframework.web.context.support.AnnotationConfigWebApplicationContext</param-value>
    </context-param>
    <context-param>
        <param-name>contextConfigLocation</param-name>
        <param-value>com.xyzlast.bookstore.domain.config.DomainConfiguration</param-value>
    </context-param>
    <servlet>
        <servlet-name>controller</servlet-name>
        <servlet-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servlet-class>
        <init-param>
            <param-name>contextClass</param-name>
            <param-value>org.springframework.web.context.support.AnnotationConfigWebApplicationContext</param-value>
        </init-param>
        <init-param>
            <param-name>contextConfigLocation</param-name>
            <param-value>com.xyzlast.bookstore.web.configs.WebMvcContexConfiguration</param-value>
        </init-param>
        <load-on-startup>1</load-on-startup>
    </servlet>
    <servlet-mapping>
        <servlet-name>controller</servlet-name>
        <url-pattern>/</url-pattern>
    </servlet-mapping>

    <filter>
        <filter-name>characterEncodingFilter</filter-name>
        <filter-class>org.springframework.web.filter.CharacterEncodingFilter</filter-class>
        <init-param>
            <param-name>encoding</param-name>
            <param-value>utf-8</param-value>
        </init-param>
        <init-param>
            <param-name>forceEncoding</param-name>
            <param-value>true</param-value>
        </init-param>
    </filter>
    
    <filter-mapping>
        <filter-name>characterEncodingFilter</filter-name>
        <url-pattern>/*</url-pattern>
    </filter-mapping>

    <welcome-file-list>
        <welcome-file>index.jsp</welcome-file>
    </welcome-file-list>

</web-app>

객체를 넣어줄때는 package명까지 명확히 넣어줘야지 된다는 것을 잊지 말아주세요.

지금보시면 web.xml에 새로운 내용이 하나 더 추가가 되어서 보입니다. filter-mapping이 바로 그것인데요. 지금 사용한 Filter는 기본적으로 tomcat과 같은 web container는  ISO-8859-1 문자 포멧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 포멧을 UTF-8로 사용하기 위한 기본 설정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꼭 해줘야지 되는 기본 설정입니다.


@Configuration + no web.xml을 이용한 설정 방법

web.xml이 아애 없이 개발하기 위해서는 web.xml을 대신할 객체를 만들어줘야지 됩니다. 
web.xml이 없는 경우, servlet container 즉 tomcat 또는 jetty는 자신이 가진 bin 중에서 spring 객체가 로드되면서 WebApplicationInitializer를 상속받은 객체가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제 우리가 사용할 기본적인 WebApplicationInitializer 코드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public class BookStoreWebApplicationInitializer implements WebApplicationInitializer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DISPATCHER_SERVLET_NAME = "dispatcher";

    @Override
    public void onStartup(ServletContext servletContext) throws ServletException {
        registerListener(servletContext);
        registerDispatcherServlet(servletContext);

        addEncodingFilter(servletContext);
    }

    private void registerListener(ServletContext servletContext) {
        AnnotationConfigWebApplicationContext rootContext = createContext(DomainConfiguration.class);
        ContextLoaderListener contextLoaderListener = new ContextLoaderListener(rootContext);
        servletContext.addListener(contextLoaderListener);
        servletContext.addListener(new RequestContextListener());
    }

    private void registerDispatcherServlet(ServletContext servletContext) {
        AnnotationConfigWebApplicationContext dispatcherContext = createContext(WebMvcContexConfiguration.class);
        ServletRegistration.Dynamic dispatcher = servletContext.addServlet(DISPATCHER_SERVLET_NAME,
                new DispatcherServlet(dispatcherContext));
        dispatcher.setLoadOnStartup(1);
        dispatcher.addMapping("/");
    }

    private AnnotationConfigWebApplicationContext createContext(final Class<?>... annotatedClasses) {
        AnnotationConfigWebApplicationContext context = new AnnotationConfigWebApplicationContext();
        context.register(annotatedClasses);
        return context;
    }

    private void addEncodingFilter(ServletContext servletContext) {
        CharacterEncodingFilter encodingFilter = new CharacterEncodingFilter();
        encodingFilter.setEncoding("UTF-8");
        encodingFilter.setForceEncoding(true);
        FilterRegistration.Dynamic encodingFilterRestriction = servletContext.addFilter("characterEncodingFilter",
                encodingFilter);
        encodingFilterRestriction.addMappingForUrlPatterns(null, false, "/*");
    }
}

하나하나 코드에 대해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WebApplicationInitializer를 상속받으면 기본적으로 onStartup method가 abstract로 구현체로 나오게 됩니다. 이 method는 web container가 application을 로드할 때 시작되는 method가 됩니다. 

code의 private method는 다음과 같습니다. 

# registerListener : root applicationContext를 로드하는 private method입니다.
# registerDispatcherServlet : child applicationContext를 로드하고, front controller인 dispatcher servlet을 로드하는 구문입니다. 
# addEncodingFilter : Filter 적용 코드입니다.

이 코드랑, 그 전에 작성된 web.xml과 한번 비교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완전히 1:1로 matching이 되어서 동작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가장 선호하는 방법입니다. 

위 코드도 길다고 느껴지시나요? 
Spring 3.2를 사용하실 경우에는 더욱더 간단한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습니다. 

public class WebXmlConfiguration extends AbstractAnnotationConfigDispatcherServletInitializer {

    @Override
    protected Class<?>[] getRootConfigClasses() {
        return new Class<?>[] { DomainConfiguration.class };
    }

    @Override
    protected Class<?>[] getServletConfigClasses() {
        return new Class<?>[] { WebApp01Configuration.class };
    }

    @Override
    protected String[] getServletMappings() {
        return new String[] { "/" };
    }

    @Override
    protected boolean isAsyncSupported() {
        return true;
    }

    @Override
    protected Filter[] getServletFilters() {
        CharacterEncodingFilter encodingFilter = new CharacterEncodingFilter();
        encodingFilter.setEncoding("UTF-8");
        encodingFilter.setForceEncoding(true);
        return new Filter[] { encodingFilter };
    }
}


@Configuration + WebApplicationInitializer + web.xml 을 이용하는 방법

이제 마지막 방법입니다.  만약에 WebApplicationInitializer를 상속받은 객체와 web.xml이 동시에 존재를 한다면 어떻게 동작을 할까요? 
정답은 web.xml이 먼저 적용되고, WebApplicationInitializer가 나중에 동작하게 됩니다. 이러한 구성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 항목들이 아직 WebApplicationInitializer에 구현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servlet 3.0 규약에서 이 부분은 web.xml에서 빠져있습니다.) 

1. welcome-page
2. error-code

이 두가지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web.xml을 사용해줘야지 됩니다.


Posted by Y2K
,

* 사내 강의용으로 사용한 자료를 Blog에 공유합니다. Spring을 이용한 Web 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Spring MVC의 구조

지금까지 Spring을 이용한 DB에 대한 접근법과 다루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이 부분은 MVC pattern의 M에 해당되는 내용들입니다. Spring은 구조화된 MVC 구조를 제공하며, Layer 기반의 잘 정형화된 서비스 패턴을 제공합니다. Spring은 MVC를 기반으로 하는 Web Framework를 제공하고 이는 org.springframework.web 안에 제공되어 있습니다.
이제부터 사용할 package인 org.springframework.web에서는 C와 V에 대한 내용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Controller

간단하게 말해서, Controller는 URL과 상호동작하는 Class입니다.
/wpwoms/appuser/getshoplist 라는 URL이 호출되었을 때, Http Request가 연결되는 Class를 의미합니다.
기술적으로는 굉장히 어려운 영역입니다. 이는 Servlet container의 Http Request가 어떻게 해석이 되며, 이 해석된 Http Request에 따라 어떤 class의 어떤 method를 선택할 지에 대한 복잡한 연결을 계속해서 이어가야지 됩니다.
Controller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일을 합니다.
1. Servlet이 넘겨주는 HttpServletRequest를 처리한다.
2. Servlet으로 HttpServletResponse를 보내준다.
3. Cookie, Session 에 대한 동기화 작업을 지원한다.

View

View는 HTML 영역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찌보면 단순한 영역일수도 있지만... 이 부분이 어마어마한 노가다를 요구하는 부분입니다. ㅠ-ㅠ
View는 Controller가 보내주는 데이터를 Html로 표현하는 영역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MVC Model이 서로간에 하는 일을 간단히 표현하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Front Controller
기존 servlet application 작성시에, url에 각각의 servlet을 등록해서 사용하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MVC 구조의 Web Application은 Front Controller pattern이라고 해서, 가장 최 상단 Front Controller가 모든 Web의 Request를 처리합니다. 그리고, 처리된 Request에 따라 맞는 Controller를 찾아서 호출해주는 형식입니다.  Spring에서는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에서 FrontController를 담당합니다. 참고로, .NET에서는 ASP .NET MVC에서는 ControllerFactory가 이 일을 합니다.

Controller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에서 처리된 request가 전달되는 영역입니다. 여기에서 HTML의 경우, 화면에 보여줄 model을 생성 하고, 또는 REST API의 경우에는 보내질 객체를 결정하게 됩니다.

View
사용자, Client에게 전달될 내용입니다. Html이 될 수도 있고, JSON이 될 수도 있고, Excel File이 될 수도 있습니다.

model
MVC에서의 M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기존 MVC에서의 Model은 BL 또는 Persistance Layer의 각 model 또는 entity를 의미하지만, 이곳의 model은 View Model입니다. View에 표시되는 model은 Controller에서 작성이 되는 경우도 있고, Domain Model에서 넘겨온 값을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존에 Application의 데이터 흐름에서 이야기한 DTO, VO가 여기에 속하게 됩니다.


Spring MVC에서의 Request 처리 과정

Spring MVC는 Web Request를 다음과 같은 순서로 처리되게 됩니다. 



1. Request -> DispatcherServlet : Request가 처음 들어오게 됩니다.
2. DispatcherServlet -> Handler Mapping : DispatcherServlet은 Request를 분석하고 Mapping 중에서 Request와 동일한 Mapping을 찾아냅니다.
3. Handler Mapping -> DispatcherServlet : 찾아진 Handler Mapping을 DispatcherServlet에 전달해줍니다.
4. DispatcherServlet -> Controller : Handler Mapping에서 찾아진 Controller측에 Http Request를 전달해줍니다.
5. Controller -> DispatcherServlet : ModelAndView 객체를 보내줍니다. ModelAndView객체는 View의 이름과 View에 표시될 데이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6. DispatcherServlet -> View Resolver : View이름을 가지고 View를 처리하는 View Resolver에 ViewName을 전달합니다.
7. View Resolver -> DispatcherServlet : 이름에 맞는 View를 return 시켜줍니다.
8. DispatcherServlet -> View : View에 표시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model을 보내줍니다.
9. View -> DispatcherServlet : model을 이용해서 View를 render 시키고, 그 결과를 DispatcherServlet에 보내줍니다.
10. DispatcherServlet -> Response : View로부터 받은 render된 결과를 Client에게 보내주게 됩니다.

위 그림과 순서는 머리에 익혀두고 있어야지 됩니다. Spring이 우리에게 감춰버리는 부분이기 때문에, 개발을 할때에는 자주 쓰이는 부분이 아니지만 디버그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떤 영역에서의 문제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되는 지식입니다. 


Maven을 이용한 Hello World Web App

maven을 이용해서 Simple web application을 작성하는 법을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전반적인 프로젝트들의 뼈대가 될 것입니다. 

Maven Project를 선택해줍니다.



maven-archetype-webapp을 선택해줍니다.


groupId와 artifact Id를 넣어주고, Project를 생성합니다.





지금 상태는 기본적으로 JRE1.5를 기반으로 한 Project가 구성이 되어있고, web application으로 eclipse에서 인식도 못하는 상태입니다. 프로젝트를 좀 손을 봐줘야지 됩니다.

pom.xml을 수정해서 JRE1.7기반으로 변경합니다.

       <plugin>
        <groupId>org.apache.maven.plugins</groupId>
        <artifactId>maven-compiler-plugin</artifactId>
        <version>3.0</version>
        <configuration>
          <source>1.7</source>
          <target>1.7</target>
        </configuration>
      </plugin>

Project에서 우클릭 > Property에 들어가서 Project Facets를 선택합니다.


Convert to faceted from... 을 클릭합니다. 

Dynamic Web Module과 JavaScript를 선택합니다.


하단에 나오는 Further configuration available 을 클릭합니다.

ContextRoot를 artifactId와 동일하게 설정하고, Context directory를 src/main/webapp 으로 수정하고, Generate web.xml deployment descriptor를 선택합니다. 



프로젝트가 다음 모습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다시 Project 우클릭 > Property에 들어가서, Deployment Assembly를 선택합니다.


Add를 눌러, Java Build Path Entities를 추가, Maven Dependencies를 추가합니다.

 


 /src/test/java를 제거합니다.
다음과 같이 Web Depolyment Assembly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Server에 추가 후, Hello World!가 나오는지 확인합니다.



이번에는 Tomcat이 아닌 jetty를 이용해서 실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pom.xml > build > plugins 에 다음 항목을 추가합니다.

            <plugin>
                <groupId>org.eclipse.jetty</groupId>
                <artifactId>jetty-maven-plugin</artifactId>
                <version>9.0.1.v20130408</version>                
            </plugin>

추가후 mvn jetty:run 을 이용해서 jetty를 실행시켜주세요. 그리고 jetty는 이 버젼에 유의해서 사용해야지 됩니다. jetty 9.0.0 버전은 심각한 오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jetty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webapplication name이 없이, http://localhost:8080 으로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Summary

maven을 이용해서 web application을 작성하는 법을 한번 알아봤습니다. maven으로 작업하는 경우에는 maven way 라고 하는 절대적인 폴더 위치를 비롯해서 프로젝트의 구성을 그대로 맞춰줘야지만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위치들을 변경하는 방법역시 존재하지만 이와 같은 공통적인 방법을 통해서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폴더의 구조에 대해서는 반드시 외우거나 숙지해주시길 바랍니다.


Posted by Y2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