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장에서는 JDBC를 이용한 db의 접근. 그리고 간단한 table의 CRUD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조금 깊게 들어가봤습니다. 또한 저번 시간의 최대 포인트는 테스트입니다. 테스트를 어떻게 작성을 하는지에 대한 논의와 테스트 코드를 직접 사용해보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드디어 Spring을 이용한 코드에 대해서 논의해보도록 하겠습니다.기존 코드의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인가요?
1. DB connection이 변경되는 경우, compile을 다시 해줘야지 된다.
2. DB connection의 open/close가 모든 method에서 반복된다.크게 보면 이 두가지의 문제가 나오게 됩니다.
Connection은 외부에서 설정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특히 이런 부분은 config file로 관리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Enterprise 구성환경에서는 JNDI를 이용한 DB Connection이 제공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외부에서 설정이 가능한 것이라고 생각해도 좋습니다. 또한, BookApp은 books table에 CRUD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객체입니다. 객체에 대한 가장 큰 원칙인 단일 책임의 원칙에 의해서, BookApp에서 Connection까지 관리가 되는 것은 영역을 넘어가게 됩니다. 또한, books 이외의 table이 존재할 때, Connection에 대한 코드는 중복될 수 밖에 없는 코드가 됩니다. 따라서 Connection을 제공하는 객체로 따로 분리를 해줍시다.
Connection을 관리, 생성하는 객체이기 때문에 ConnectionFactory라고 명명하고, 객체를 구성합니다. 객체의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public class ConnectionFactory {
private String connectionString;
private String driverName;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String password;
public Connection getConnection() throws InstantiationException, IllegalAccessException,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
Class.forName(this.driverName).newInstance();
Connection conn = DriverManager.getConnection (this.connectionString, this.username, this.password);
return conn;
}
public String getConnectionString() {
return connectionString;
}
public void setConnectionString(String connectionString) {
this.connectionString = connectionString;
}
public String getDriverName() {
return driverName;
}
public void setDriverName(String driverName) {
this.driverName = driverName;
}
public String getUsername() {
return username;
}
public void setUsername(String username) {
this.username = username;
}
public String getPassword() {
return password;
}
public void setPassword(String password) {
this.password = password;
}
}
그리고, ConnectionFactory를 이용한 코드로 TestCode를 다시 구성해보도록 하겟습니다.
public class BookAppTest {
private BookApp bookApp = new BookApp();
private ConnectionFactory connectionFactory = new ConnectionFactory("com.mysql.jdbc.Driver", "jdbc:mysql://localhost/bookstore", "root", "qwer12#$");
private List<Book> getBooks() {
Book book1 = new Book();
book1.setId(1);
book1.setName("book name01");
book1.setAuthor("autor name 01");
book1.setComment("comment01");
book1.setPublishDate(new Date());
Book book2 = new Book();
book2.setId(2);
book2.setName("book name02");
book2.setAuthor("autor name 02");
book2.setComment("comment02");
book2.setPublishDate(new Date());
Book book3 = new Book();
book3.setId(3);
book3.setName("book name03");
book3.setAuthor("autor name 03");
book3.setComment("comment03");
book3.setPublishDate(new Date());
List<Book> books = Arrays.asList(book1, book2, book3);
return books;
}
private void compareBook(Book book) throws InstantiationException, IllegalAccessException,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
Book dbBook = bookApp.get(book.getId());
assertThat(dbBook.getName(), is(book.getName()));
assertThat(dbBook.getAuthor(), is(book.getAuthor()));
assertThat(dbBook.getComment(), is(book.getComment()));
assertThat(dbBook.getPublishDate().toString(), is(book.getPublishDate().toString()));
}
@Before
public void setUp() throws InstantiationException, IllegalAccessException,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
bookApp.setConnectionFactory(connectionFactory);
bookApp.deleteAll();
assertThat(bookApp.countAll(), is(0));
}
@Test
public void addAndCount() throws InstantiationException, IllegalAccessException,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
List<Book> books = getBooks();
int count = 0;
for(Book book : books) {
bookApp.add(book);
count++;
assertThat(bookApp.countAll(), is(count));
}
}
@Test
public void update() throws InstantiationException, IllegalAccessException,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
List<Book> books = getBooks();
int count = 0;
for(Book book : books) {
bookApp.add(book);
count++;
assertThat(bookApp.countAll(), is(count));
book.setName("changed name");
book.setPublishDate(new Date());
book.setAuthor("changed author");
bookApp.update(book);
compareBook(book);
}
}
@Test
public void getAll() throws InstantiationException, IllegalAccessException,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
List<Book> books = getBooks();
int count = 0;
for(Book book : books) {
bookApp.add(book);
count++;
assertThat(bookApp.countAll(), is(count));
}
List<Book> books2 = bookApp.getAll();
assertThat(books2.size(), is(books.size()));
}
@Test
public void search() throws InstantiationException, IllegalAccessException,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
List<Book> books = getBooks();
int count = 0;
for(Book book : books) {
bookApp.add(book);
count++;
assertThat(bookApp.countAll(), is(count));
}
List<Book> searchedBooks = bookApp.search("01");
assertThat(searchedBooks.size(), is(1));
searchedBooks = bookApp.search("02");
assertThat(searchedBooks.size(), is(1));
searchedBooks = bookApp.search("03");
assertThat(searchedBooks.size(), is(1));
searchedBooks = bookApp.search("name");
assertThat(searchedBooks.size(), is(3));
}
}
지금까지 구성된 BookApp을 지금 사용하는 객체는 test 객체만이 유일한 client입니다. 사용하는 객체(client)에서 자신이 사용할 객체의 구성을 결정하는 행위를 IoC(inverse of control)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Spring의 가장 주요한 기능을 사용할 때가 왔습니다.
Spring은 IoC를 지원하는 경량 container입니다.
그런데, IoC를 (어떻게) 지원하는 지에 대한 설명을 한다면 어려운 말로 DI를 통해서 지원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DI란 Dependency Injection의 약자입니다. 사용할 객체의 Dependency를 inject 한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말이 좀더 어려워서 예시를 이용해서 바꿔주도록 하겠습니다.
BookApp은 ConnectionFactory에 의존한다.
BookAppTest는 BookApp에 의존한다.
BookAppTest는 BookApp의 ConnectionFactory를 변경시켜서 사용한다.
최종적으로, BookAppTest는 BookApp을 사용하지만, BookApp이 종속되어 있는 ConnectionFactory를 변경시켜서 사용하게 됩니다. 이때, 의존되어 있는 ConnectionFactory를 변경하는 행위를 DI(dependency Injection)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위 코드를 좀 유식한 말로 풀어서 한다면, BookApp을 DI를 통해 사용하는 코드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그림으로 도식화 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지금 이야기드린 IoC, DI는 Spring에서 굉장히 중요한 개념입니다. Spring은 light DI container라고 할 정도로 Spring의 핵심 기능중 하나입니다.
지금까지 작성된 코드를 보면 처음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테스트를 통해서 검증이 가능합니다.
2. connectionString 및 jdbc Driver를 사용하는 code내에서 찾아서 사용합니다.
3.중복 코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위의 특징은 잘 짜진 코드라면 당연히 가져야지 되는 특징입니다.
Spring을 이용한 IoC/DI
spring을 이용하면 지금까지 구성되었던 코드를 보다 더 깔끔하게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먼저 spring에 대한 dependency를 추가시켜줍니다.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spring-core</artifactId>
<version>3.2.0.RELEASE</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spring-beans</artifactId>
<version>3.2.0.RELEASE</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spring-test</artifactId>
<version>3.2.0.RELEASE</version>
<scope>test</scope>
</dependency>
spring-test는 scope를 이용해서, test code에서만 사용하도록 지정한것을 제외하고는 mysql dependency를 추가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설정해줍니다.
applicationContext.xml 파일을 src/test/resource에 추가하고 다음과 같이 적어줍니다.<?xml version="1.0" encoding="UTF-8"?><beans xmlns="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spring-beans.xsd">
<bean id="connectionFactory" class="com.xyzlast.bookstore01.domain.ConnectionFactory">
<property name="connectionString" value="jdbc:mysql://localhost/bookstore"/>
<property name="driverName" value="com.mysql.jdbc.Driver"/>
<property name="username" value="root"/>
<property name="password" value="qwer12#$"/>
</bean>
<bean id="bookApp" class="com.xyzlast.bookstore01.domain.BookApp">
<property name="connectionFactory" ref="connectionFactory"/>
</bean></beans>
solution의 directory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테스트 코드를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Before
public void setUp() throws InstantiationException, IllegalAccessException,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
ApplicationContext context = new GenericXmlApplicationContext("/appContext.xml");
bookApp = (BookApp) context.getBean("bookApp");
System.out.println(bookApp);
bookApp.deleteAll();
assertThat(bookApp.countAll(), is(0));
}
테스트 코드가 모두 통과됨을 알 수 있습니다. 어떻게 해서 이렇게 된 것인지 서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pplicationContext.xml 파일은 사용할 객체에 대한 정의 파일입니다. spring에서는 ApplicationContext로 불리우는 객체에 대한 Hashtable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appContext에 정의된 ConnectionFactory 객체와 BookApp 이라는 객체에 대한 관계를 봐보시면 좀 더 생각이 쉬울 수 있습니다. 먼저 connectionFactory 라는 이름으로 ConnectionFactory를 정의합니다. 저희가 property로 뽑은 connectionString, driverName, username, password에 대한 값들을 모두 설정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bookApp이라는 이름으로 설정된 BookApp 객체를 보시면 좀더 재미잇는 코드를 볼 수 있습니다. ref 라는 키워드로 값을 설정하고 있는데. 이는 먼저 설정된 connectionFactory 객체를 bookApp에 주입(Inject) 시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테스트 코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스트 코드에서는 먼저 GenericXmlApplicationContext 객체를 이용해서 applicationContext를 전체 로드합니다. 로드된 xml을 기초로 객체들을 생성하고, 그 객체를 Hashtable 형태로 저장하는 일을 합니다.
Hashtable 형태로 저장된 객체들은 각각의 id를 통해서 로드가 가능하며, bookApp = (BookApp) context.getBean("bookApp"); 코드를 통해서 BookApp을 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spring을 통해서 객체를 사용하는 것이 어떤 장점을 갖게 될까요?Spring을 사용한 객체의 사용의 장점은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1. 정해진 규칙에 따른 객체의 선언
2. xml로 정의된 객체의 dependency 파악이 가능
3. 테스트의 편의성
먼저 정해진 규칙에 따른 객체의 선언은 팀단위의 개발자들에게 일정한 개발 패턴을 만들어줍니다. 정해진 개발 패턴은 정형화된 코드를 만들고, 서로간에 코드의 공유가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xml을 통한 객체의 의존성 관리는 객체들이 어떠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마지막으로 테스트의 편의성을 들 수 있습니다. spring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데, 지금까지 보던 코드보다 더욱 깔끔하고 쉬운 테스트 패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Spring을 사용한 테스트 코드를 다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작성된 코드를 기반으로, Spring을 이용한 테스트 코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습니다.
@RunWith(SpringJUnit4ClassRunner.class)
@ContextConfiguration("/applicationContext.xml")
public class BookAppTest {
@Autowired
private ApplicationContext context;
private BookApp bookApp;
@Before
public void setUp() throws InstantiationException, IllegalAccessException,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
bookApp = (BookApp) context.getBean("bookApp");
System.out.println(bookApp);
bookApp.deleteAll();
assertThat(bookApp.countAll(), is(0));
}
Test class에 @RunWith와 @ContextConfiguration annotation이 붙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RunWith는 Spring을 이용한 JUnit4 test class임을 명시하는 선언입니다. 중요한것은 @ContextConfiguration인데, 이는 방금 작성한 applicationContext.xml를 지정하는 영역입니다. @ContextConfiguration이 설정된 경우, Test class가 로드 되면서, xml 파일안에 위치한 객체를 생성해서 spring application context에 저장하고 있습니다. 4 line에 위치한 @Autowired는 spring application context 중에 type이 동일한 객체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annotation입니다. spring test는 1개의 applicationContext를 로드하기 때문에, 그 객체를 context 변수에 자동으로 할당하게 됩니다. 자신이 구성한 applicationContext.xml은 반드시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테스트를 통과시켜야지 됩니다.
Spring에서의 객체의 생명 주기
spring에서의 객체의 생명 주기는 기본적으로 한번 사용된 객체를 재사용합니다. 테스트 코드를 통해서 이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성된 코드에 System.out.println 을 이용해서 bookApp 객체의 instance id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Before
public void setUp() throws InstantiationException, IllegalAccessException,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
//context = new GenericXmlApplicationContext("/appContext.xml"); @ContextConfiguration에 의하여 필요없는 코드가 되었습니다.
bookApp = (BookApp) context.getBean("bookApp");
System.out.println(bookApp);
bookApp.deleteAll();
assertThat(bookApp.countAll(), is(0));
}
테스트 코드의 console 창의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INFO: Pre-instantiating singletons in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61305d5b: defining beans [connectionFactory,bookApp,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internalConfigurationAnnotationProcessor,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internalAutowiredAnnotationProcessor,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internalRequiredAnnotationProcessor,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internalCommonAnnotationProcessor,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ClassPostProcessor.importAwareProcessor]; root of factory hierarchy
com.xyzlast.bookstore01.domain.BookApp@240615ef
com.xyzlast.bookstore01.domain.BookApp@240615ef
com.xyzlast.bookstore01.domain.BookApp@240615ef
com.xyzlast.bookstore01.domain.BookApp@240615ef
2월 18, 2013 2:57:58 오후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 doClose
보시면 BookApp의 모든 객체 Id가 동일함을 알 수 있습니다. ApplictionContext에 저장된 객체를 얻을 때, 새로 생성하는 것이 아닌 기존의 객체를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왜 모든 객체들을 기본적으로 재사용하게 될까요? 기본적으로 spring은 enterprise development framework입니다. enterprise급의 대규모 시스템에서는 객체의 생성/삭제가 많은 부담을 주게 됩니다. 이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 spring은 application context가 로드 될 때, 기본 객체들을 모두 생성, 로드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물론, 다른 방법역시 가능합니다.
Spring에서의 객체의 생명주기는 scope로 불리고, 다음 4가지로 관리가 가능합니다.
1.singleton
2.prototype
3.session
4.request
singleton은 default 값입니다. scope를 따로 설정하지 않으면 모두 singleton으로 동작합니다. 이는 객체를 static object와 동일하게 사용하게 됩니다.
prototype은 일반적으로 저희가 사용하던 객체의 생성방법과 동일합니다. new 를 통해서 객체를 생성하고, property 값을 모두 설정시킨 후, 그 객체를 넘겨주게 됩니다.
session과 request는 web programming에서 사용되는 scope입니다. 새로운 session이 생성될 때, 새로운 request가 생성이 될때 사용될 수 있는 scope 입니다.
크게는 singleton과 prototype을 이용하면 대부분의 객체 생명주기 관리는 가능하게 되며 그 차이를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cope를 prototype으로 선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bean id="bookApp" class="com.xyzlast.bookstore01.domain.BookApp" scope="prototype">
<property name="connectionFactory" ref="connectionFactory"/>
</bean>
그리고, 테스트코드를 수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월 18, 2013 2:45:30 오후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 preInstantiateSingletons
INFO: Pre-instantiating singletons in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61305d5b: defining beans [connectionFactory,bookApp,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internalConfigurationAnnotationProcessor,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internalAutowiredAnnotationProcessor,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internalRequiredAnnotationProcessor,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internalCommonAnnotationProcessor,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ClassPostProcessor.importAwareProcessor]; root of factory hierarchy
com.xyzlast.bookstore01.domain.BookApp@240615ef
com.xyzlast.bookstore01.domain.BookApp@3622102f
com.xyzlast.bookstore01.domain.BookApp@78f14616
com.xyzlast.bookstore01.domain.BookApp@c4e6fe5
2월 18, 2013 2:45:31 오후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 doClose
각각 4개의 BookApp bean이 생성됨을 알 수 있습니다. spring 설정 만으로 다음과 같은 코드가 만들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고 오게 되는 것입니다.BookApp bookApp = new BookApp();
bookApp.setConnectionFactory(new ConnectionFactory);
이 부분을 보면 Factory Pattern에서의 Factory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ApplicationContext는 bean의 Map과 Factory를 지원한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spring을 사용하게 되면, 객체들을 new로 새롭게 할당하는 일들이 얼마 없습니다. 모든 객체 bean들은 spring을 통해서 관리가 되고, bean들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POJO(Plain Old Java Object)들만 new로 생성되어서 데이터 교환이 되는 것이 일반적인 패턴입니다. POJO에 대해서는 좀더 나중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pring에서의 객체 주입과 이용에 대한 심화 학습
먼저 이야기한 내용에서 bean의 Map을 제공한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Spring은 ApplicationContext라는 bean Map / Factory를 가지고 있고, ApplicationContext를 통해서 객체를 얻어내거나 생성하게 됩니다. 이때, 객체의 초기화 방법은 다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property를 이용한 주입
2. 생성자를 이용한 주입
property를 이용한 주입은 기존 connectionFactory의 xml 선언을 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bean id="connectionFactory" class="com.xyzlast.bookstore01.domain.ConnectionFactory">
<property name="connectionString" value="jdbc:mysql://localhost/bookstore"/>
<property name="driverName" value="com.mysql.jdbc.Driver"/>
<property name="username" value="root"/>
<property name="password" value="qwer12#$"/></bean>
생성자를 이용한 주입은 constructor-arg를 이용해서 선언 가능합니다.
<bean id="connectionFactory" class="com.xyzlast.bookstore01.domain.ConnectionFactory">
<constructor-arg index="0" value="jdbc:mysql://localhost/bookstore"/>
<constructor-arg index="1" value="com.mysql.jdbc.Driver"/>
<constructor-arg index="2" value="root"/>
<constructor-arg index="3" value="qwer12#$"/>
</bean>
어떤 방법이 좋은지에 대해서는 찬/반이 나뉘고 있습니다. 장점과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방법 | 장점 | 단점 |
Property를 이용한 방법 | 1. 설정값에 대한 설명을 Property를 통해 명확히 알 수 있다.
2. 객체가 변경되었을 때, 확장이 용의하다. | 1. 사용되는 Bean의 내용을 정확히 알지 못하면, Property 값을 설정하는 것을 빼먹을 수 있다. |
생성자를 이용한 방법 | 1. 필요한 값을 모두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 2. 값을 index와 같이, 순서를 이용하기 때문에 어떤 값을 설정하는지 파악하기 힘들다.
|
둘다 좋은 방법이지만, spring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library 들은 property를 이용한 주입 을 주로 하고 있습니다. 이건 개발을 하는 팀에서 한가지로 정해서 가는 것이 좋습니다.
객체를 사용하다보면, 객체를 초기화 시켜야지 되는 경우가 자주 생깁니다. 지금 코드에서는 ConnectionFactory의 Class.forName().newInstace()의 경우에는 한번만 실행되어도 코드의 동작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생성 후, 한번만 실행이 되어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이러한 초기화 method를 실행시키는 xml선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bean id="connectionFactory" class="com.xyzlast.bookstore01.domain.ConnectionFactory" init-method="init">
<property name="connectionString" value="jdbc:mysql://localhost/bookstore"/>
<property name="driverName" value="com.mysql.jdbc.Driver"/>
<property name="username" value="root"/>
<property name="password" value="qwer12#$"/>
</bean>
init-method가 포함된 객체의 생성 process는 다음과 같습니다. (singleton scope의 경우)
1. 객체의 생성
2. property 값들의 설정
3. init-method 의 실행
init-method가 property값들이 모두 설정 된 후에 실행됨을 확인해주셔야지 됩니다.
Summary
이번 장에서는 Spring을 이용한 객체의 관리를 위주로 Simple Application을 작성해봤습니다. 다음 개념들은 반드시 다시 정리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1. ApplicationContext : Spring에서 제공하는 bean의 Map/ObjectFactory
2. property, constructor, init-method를 이용한 객체 초기화 방법
3. IoC, DI